Python/python - 파이썬

[Python] 왕초보 기초강의 4 - 연산자

과외선생J 2020. 10. 22. 08:59
반응형

안녕하세요 과외선생J입니다. 

 

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에서 쓰이는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 

 

 

이전 포스팅에서 수치자료형에는 정수,실수, 복소수 자료형이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. 

 

그렇다면 수치자료형들 사이에 계산은 어떻게 해야할까요? 

 

파이썬에서 사용하는 연산자는 총 7가지가 있습니다. 

더하기, 빼기, 곱하기, 나누기, 지수계산, 몫, 나머지 입니다. 

 

더하기와 빼기는 기존 수학에서 쓰는

사칙연산의 기호를 그대로 사용합니다.

 

곱하기는 ' * ' 로, 나누기는 '/' , 지수계산은 ' ** ',

몫은 '//' , 나머지 계산은 '%' 를 사용합니다. 

 

다음 예시를 통해 각 연산자들의 결과값이

어떻게 나오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. 

 

우선 a=2, b=5 라고 변수를 정하고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 

 

 

a + b 는 2+5 로 7이라는 값이 나옵니다.  

a - b 는 2-5 로 -3이라는 값이 나옵니다. 

a * b 는 2 x 5 로 10이라는 값이 나옵니다. 

a / b 는 2 ÷ 5 로 0.4 라는 값이 나옵니다. 

a ** 5 는 2의 5제곱으로 32이라는 값이 나옵니다. 

a // b 는 2를 5로 나눈 몫이라는 의미로 몫이 0으로 나오게 됩니다. 

b % a 는 5를 2로 나눈 나머지 라는 의미로 5=2x2+1 이므로 1이 출력이 되게 됩니다. 

 

연산자 사이에는 우선순위가 있어서 여러가지 연산자가 동시에 사용 될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계산이 됩니다.

우선순위는 **  ->  *, /, %, //  -> +, - 순서로 정해지게 됩니다. 

 

 

( 2**3 ) ** 2+5//2 - 12/6 + 25 % 4 라는 식을 계산해보겠습니다. 

 

계산 결과

( 2**3 ) ** 2+5//2 - 12/6 + 25 % 4 라는 식을 계산 할 경우

다음 순서로 계산이 됩니다. 

(1)  2**3 = 8

(2) 8**2 = 64 ,  5//2=2, 12/6 = 2,  25%4 = 1

(3) 64 + 2- 2 + 1 = 65 

 

오늘은 연산자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. 

 

연산자를 통해 여러가지 응용도 가능하니

기본적인 연산을 잘 익혀두시면

추후에 도움이 많이 되실 거라 생각됩니다. 

 

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뵙겠습니다 ^^ 

반응형